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산업 기기 및 로봇의 오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전문가 제언
□ 1960년대부터 산업기기 및 공작기계의 자동화는 양산용 지그 및 픽스처(fixture)의 개발, 기계적인 방법의 적용 그리고 유압장치의 기술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정교하고 신속한 작업이 되었다.

□ 1970년대부터는 공작기계에 NC의 도입으로 이미 공장자동화 및 제품의 양산화에 따른 생산성향상 및 품질관리나 인원관리까지도 NC의 파생효과를 보았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는 항상 오퍼레이터(operator)의 접근으로 수행되었다.

□ 최근에 PC, 인터넷의 보급 및 IT산업의 발달로 또한 치열한 경쟁력으로 품질관리, 납기관리 및 인원관리의 강화에 이르렀으며 산업기기로서의 다양화는 로봇의 이용압력이 더욱 증대되었다.

□ 이제는 단순히 1대1의 작업 및 메인터넌스(maintenance) 등에서 1대 다수의 관리로 변화됨으로 원격조정에 의한 정보의 교환과 데이터 처리 시 각 기기의 상태 및 예방 점검 등 기기상태의 정상화를 위한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 이들 정보를 오픈(open)함으로써 ORiN의 적용은 다양하고 서로 다른 시스템 기기의 컨트롤러의 수신 자료를 RAO, RRD 및 RAP의 적용 소프트웨어를 개입하여 원활한 인터페이스로 설계하고, 사양 특성을 통일 정비하여 로봇 컨트롤러와 애플리케이션 중계자로서 원활하게 역할하는 기술의 총칭이 되며 계속 확장될 것이다.
저자
Makota Mizuk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3
권(호)
42(7)
잡지명
계측과제어(E109)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66~571
분석자
송*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