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자동차용 구동계 기어의 재료 및 열처리 기술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4대 철강생산국이며 자동차 생산도 10위권 안에 드는 주요 자동차 생산국가이나 주요부품에 사용하는 철강소재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소재가 국산화되었다 해도 열처리기술이 부족해 일본이나 유럽으로부터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 판매에 의한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주요부품에 대해 소재개발과 열처리기술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 장래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초고강도 기어의 경우, 우선 재료면에서 기대되는 것은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마이크론 요구 수준까지 초미세화하는 기술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재료성분만이 아니고 가공과 변태 즉 단조와 열처리를 융합한 가공열처리기술이 요구된다.

□ 동시에 침탄시의 결정립 조대화를 여하히 억제할 수 있는가와, 철강제조업체와 일체로 된 기초기반적인 개발자세가 요망된다. 또한 복수의 열처리나 표면처리를 최적으로 조합시킨 하이브리드 표면개질기술의 창출이 더욱 더 기대된다.

□ 이미 일부의 엔진부품(피스톤 슬라이딩부)에는 적용되고 있지만 내마모성과 자기윤활성을 겸비한 DLC(Diamond-Like Carbon)막 코팅과, CVD 혹은 PVD법을 이용한 특수 표면개질기술의 적용분야 개척과 최적화도 필요하다.

□ 한편, 개발단계에서 시작(試作)을 행하지 않고, 시뮬레이션에 의해 설계나 생산상의 문제점을 예측하고 개발기간의 대폭적인 단축과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 조합 열처리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기어재료나 이 재료의 표면개질분야에 있어서도, 급속히 고정도화(高精度化)되고 있는 열처리 시뮬레이션의 발전과 이것에 의한 기술개선 또는 신기술창출에의 공헌이 기대되고 있다.

□ 기존의 일반적 기어재료, 예를 들어 JIS S40~55C, SCr420(H) 및 SCM420(H) 등의 각종 강재의 재료물성치, 실제 사용되고 있는 기어의 열처리품질자료와 이들 자료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
Youichi watanabe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38(7)
잡지명
설계공학(D12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3~39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