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의 RPS법과 마이크로 수력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도 2002년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이에 따라 대체에너지 공급량을 확대하기 위해서, 2006년 3%, 2011년엔 5%를 목표로 대체에너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우선 구매토록 함으로서, 일본의 RPS법과 유사하게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수력은 대규모 댐 경우 또 다른 환경 부하가 커서 지역주민이나 환경단체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고, 막대한 초기 투자비 때문에 경제성 있는 입지는 거의 국내에서도 소진된 상태이다.

□ 이에 비해서 대체에너지원으로서의 소수력발전은 하수종말처리장, 농업용 저수지, 수도사업장의 취수장, 정수장 등 저 낙차 유휴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지역개발 촉진과 함께 경제적 효과도 기대된다.
우리나라도 일부 정부투자기관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이나 농업용 저수지를 이용한 소수력발전 검토를 끝내고 공사 시공 중인 곳도 있다.

□ 본문에서는 소수력발전보다 범위를 넓힌 1MW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 경우 적용범위가 매우 넓어서 보급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다만, 초기투자비를 최소화해야 하므로 저 낙차 소 용량에 적합한 한국형 수차를 개발하되, 대량생산에 의한 코스트 절감을 위해 다소 효율 저하를 감수하더라도 2~3개로 형식으로 단순화시킨다면 다른 대체에너지 대비 경제성이 훨씬 제고될 것이다.

□ 또, 수력발전은 반영구적이어서 수명은 30년 정도이나, 정부의 에너지개발자금 융자 지원은 15년 이내로서, 좀더 현실에 맞게 지원된다면 대체에너지 개발촉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저자
Morihito inagaki, Mitsuhiro ishigur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3
권(호)
31(11)
잡지명
터보기계(B517)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8~53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