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호수의 수질 개선
- 전문가 제언
-
□ 최근 호수나 연근해의 양식어업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연안 해수오염이 날로 심각한 상태로 되어, 각종 내수면의 오염과 함께 연안 양식장에도 녹조, 청조 및 홍조의 발생으로 연간 양식어업에 미치는 손실이 막대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 이와 같은 현상은 과잉의 유기물질이 미분해 상태로 수중에 침지되어 수중의 BOD요구량을 증가시켜 용존산소를 최소화 시키므로 호기(好氣)적 수중생물인 어류와 식물은 자라지 못하고 혐기(嫌氣)상태어서만 자랄 수 있는 청조나 녹조 홍조들만이 자라므로 수중환경은 더욱 혐기 상태가 되어 혐기(嫌氣)적 물질인 NH4+ -질소와 PO43- -인이 방출되어 생명체가 살지 못하는 환경이 된다.
□ 여기에서 소개한 수질개선기술의 특징은, 오염이 심한 바다나 호수 등의 저층수의 용존산소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NH4+ -질소와 PO43- -인의 발생 을 저감(低減)시키는 것이다.
□ 본 시스템은 수중의 용존 산소를 높이는 환경 개선에 있어, 동력원으로서 태양에너지 등의 자연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앞으로 오염 수질의 환경개선에 저렴한 새로운 수질개선방법으로서 파도, 풍력 및 태양에너지를 이용 할 경우 바다와 호수 그리고 근해양식어장 등의 심층수에 용존산소를 증가시키는 경제성이 있는 방법으로의 활용이 기대 된다.
- 저자
- Akira inagaki, Toshimitsu komatsu, Tetsunori inoue and Michiaki negi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31(11)
- 잡지명
- 터보기계(B51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5~41
- 분석자
- 박*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