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선박 자동식별장치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스웨덴의 스톡홀름(Stokholm) 부근 해역은, 수로가 좁고 섬이 많은 다도해이며, 섬의 그림자로 인하여, 전방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으로, 이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는 선박충돌 방지대책으로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가 개발되었다고 한다. 일본도 역시 Tokyo만이나 Sedo내해 등은 선박이 폭주하는 해역이기 때문에, 2002년 7월부터 이 AIS, 즉 선박자동 식별장치를 300GT 이상의 외항선 및 500GT 이상의 내항선에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하였고, 앞으로는 소형선박에게까지도 이를 의무화시켜서, 해상사고 방지에 주력하도록 하고 있다.

□ 현재까지는 레이더를 이용해서 표류물이나 타선박의 동향파악을 용이하게 해왔으나,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해서 VHF의 특정 채널을 사용하여, 타선박이나 육상의 해상교통 센터와 자선박 간에, 다종다양한 상호교신을 가능토록 하는 것이 이 시스템의 목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AIS가 이제 막 시장에 소개되었을 뿐이고, 더욱이 일부 선사나 운항자간에는 AIS를 의무적으로 탑재를 하고는 있으나, AIS의 이용방법이 불명확하여 충분한 활용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일본정부는 이를 계몽하기위해서 해상보안청이 중심이 되어 적극적으로 보급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도, 외항선은 물론이거니와 연안해안에 취항하고 있는 각급선박의 해상사고 예방을 위해서, 이제 막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일본정부의 해상사고방지대책으로서의 이 AIS시스템의 활용기술이, 관계요로에 유익한 참고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저자
Junji Fuku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38(9)
잡지명
머린엔지니어링(F263)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6~51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