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대의 알루미늄 단조
- 전문가 제언
-
□ 알루미늄 단조의 기술적인 과제는 단조품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생산하는가에 달려있다. 즉 비용을 저하하는 것이 알루미늄 단조품의 차후 양적 확대를 좌우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 최근 자동차 및 그 관련부품에 많이 사용되는 알루미늄 단조품은 종래의 축대칭 가공뿐만 아니라 더욱 복잡한 형상, 즉 비대칭적인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에 맞추어 새로운 단조법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 이형 단조를 실시할 경우, 그 소재의 형상을 최적의 형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함부로 각 파라미터를 변화시키면 형상이 불량해지고 단조조직 파열되어 결함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단조공정도 단축할 수 없다.
□ 최근 우리나라의 주력 수출상품인 휴대폰이나 디지털TV 또는 MP3플레이어 등은 신 모델의 주기가 매우 짧고 제품의 형상이 매번 바뀌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케이싱이 제품 경쟁력과 직결된다. 케이싱은 알루미늄·마그네슘 등의 경량소재로 판재성형이나 주조 등을 통해 제작된다. 이때 제품의 단가를 좌우하는 것은 제품불량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극대화 하기위한 최적화된 금형의 엔지니어링 설계기술이다.
□ 근래에 우리나라에서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첨단 설계기술을 주조·금형·단조 등 금속소재 가공분야에 융합시키는 활발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소기업들도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다. 심지어 인공지능 해석기능과 통합시켜 컴퓨터 스스로 최적화설계를 함으로써 고급 전문 인력의 부족을 대체해 나가려는 시도도 매우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 저자
- Tsunehisa SEKIGUTS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1(12)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4~50
- 분석자
- 김*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