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판금성형과 냉간단조의 복합기술

전문가 제언
□ 공작기계의 발전과 단조기술 개발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고, 그 개발된 고정밀도 제품을 보다 빠르게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단조조건에 맞는 금형의 구조, 형태, 재질 등과 모든 기술을 링크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 압조기(壓造機)의 CNC화가 실현되는 등 동적 고정밀도화 시대로 진행되고 있다. 양산시의 온도변화에 의한 성형하중의 변동과 소재중량 산포 등을 압조기 쪽에서 컨트롤하면 고도한 넷 세이프 단조에 커다란 공헌을 할 수 있다.

□ 냉간 단조는 안정도가 증가하고 후가공이 불필요한 고정밀도화, 복잡한 형상의 고난도 가공화, 제품중량의 대형화로 진보하면서, 비용절감의 요청에 대한 선두주자로써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어가고 있다.

□ 냉간단조에서는 가공시의 공구와 성형기의 탄성변형 및 성형후의 스프링백 특히 가공온도에 의한 팽창과 냉각후의 수축에 의한 치수변화, 공구의 열영향, 공구 마모, 국부적인 변형과 수명, 표면정도에 관한 윤활, 온도조건 등이 상호영향을 끼친다.

□ 열간단조는 가열장치가 있어야 하고 정밀한 단조 및 스케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도가열로와 같은 장치가 필요하고 계속적인 에너지비용 투자가 필요하지만, 냉간단조는 상온에서 작업하므로 가열비가 필요없고 절단, 예비성형, 풀림열처리, 쇼트 블라스트 등 예비 가공비용이 든다.

□ 금형의 러닝코스트를 내리기 위해서는 사용자와의 기술교류를 반복하여 수명대책과 가공개선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불가피하다.
저자
Takashi NAKAN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1(12)
잡지명
프레스기술(M17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0~35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