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조가공 기술의 현황과 향후 전망
- 전문가 제언
-
□ 단조기술은 소성가공의 일종으로 절삭가공이나, 주조가공 등의 다른 가공법에 비하여 동일 형상의 양산 가공에 대해서 월등하게 우위인 가공법으로 이는 주로 현재 자동차나 가전제품의 부품의 양산에 주로 쓰이고 있으며, 이의 발전은 기대가 되는 바이다.
□ 단조의 분류는 온도에 의해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용탕단조, 열간단조, 온간단조, 냉간단조, 분말단조 등이 있으며, 냉간단조가 단조 후 열 변형이 가장 적은 것으로 정밀 단조를 위해서는 냉간단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 단조기술의 발전 방향으로는 단조의 저항성과 변형관계를 고려하여 복합 단조 방식을 채택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마무리 단조는 냉간 단조 방법으로 하고 있다. 정밀 부품을 단조 작업으로 양산을 위해서는 후 가공이 필요하지 않고 단조가공이 완성품이 되는 정밀형상 단조기술이 계속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서는 단조 소재의 개발, 성형조건, 공구가 소성가공에 미치는 영향 등이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이 중요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하고, 결과에 따라 최적의 성형조건을 확정하는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 이러한 단조가공에서는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윤활의 사용이 필요하며 이의 처리에 많은 고심을 하고 있다. 따라서 유해 물질의 발생이 억제되는 친환경적인 윤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나아가서는 윤활제가 필요 없는 가공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 단조가공기술은 향후 발전가능성이 가장 많은 가공 방법 중의 하나로 특히 자동차 부품이 전체 단조품의 60%를 차지하는 것과 같이 자동차 산업이 부각되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에서는 단조 가공의 필요성은 더욱 높다. 정밀형상 가공기술, 단조 가공 데이터베이스, 무공해 윤활유의 개발 등으로 단조기술을 개발 및 체계화함으로서 더욱 더 많은 수요가 예측되는 기술이다.
- 저자
- Uchida Yousahik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1(12)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7~21
- 분석자
- 하*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