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 판금현장에서 개선의 문제점 - 프레스기계 메이커의 관점에서
- 전문가 제언
-
□ 프레스 제품의 가격경쟁을 위하여 프레스 가공 현장에서의 생산성향상으로 많은 코스트다운을 요구하고 있다. 프레스 가공현장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요인해명에는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프레스 가공현장만의 힘으로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개선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 생산성은 단위 시간당 혹은 일당에 대한 생산속도나 가동률을 말하지만, 일반적으로 생산 활동의 수치목표는 프레스 기계가 본래 가지고 있는 사양상의 최대치와는 크게 다르다. 그 이유는 대부분 목전에 당면한 문제점만을 발견하고 그 대책에 국한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왜 프레스 기계가 본래 가지고 있는 사양상의 최고 속도로 생산을 할 수 없는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검토로는, 각 분야의 전문지식이 필요하게 된다. 프레스에 대해서는 프레스 메이커의, 금형에 대하여는 금형부문 메이커의 전문지식을 도입함으로 문제를 본질적으로 파헤쳐 들어 갈 수가 있어, 프레스 기계의 수리 보수가 신속히 이루어 질 수 있다. 또 동일 형태의 기계를 복수로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고장우려가 많은 부품을 예비로 확보해 둠으로서 고장부품 교체의 신속성은 물론 이의 부품을 리트로피트 함으로서 항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 프레스 가공현장에서의 생산성 제고에서, 가공현장의 생산성 향상이 되고 있지 못한 참된 원인이 무엇인지 찾아내기 위해서는 PDCA(Plan, Do, Check, Action)서클을 돌리고, 예방보전, 재건(Rebuild), 리트로피트(Retrofit)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프레스 기계가 정지함이 없이 가동되도록 하여야 하며, 프레스 기계가 가지고 있는 사양 상의 최고 속도로 운전될 수 있는 상태로 기계의 성능이 항시 유지되어야 생산성이 크게 향상 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프레스 가공공장만이 노력한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가공 현장의 관계자, 프레스 기계 메이커의 관계자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논의함으로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해외에서의 생산성 제고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더더욱 양자의 협력이 절실하다는 경험의 소개로, 해외에 프레스 가공공장을 가지고 있는 기업체관계자에게는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라 사료된다.
- 저자
- Hidemi MORI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1(10)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9~35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