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미늄과 수지의 일체화 기술 - 프레스 가공과 사출성형의 융합화 기술

전문가 제언
□ 성형품 가공에 있어 몰드 금형을 사용하여 제품을 제작하고 있는 공법으로 열가소성 수지에는 사출성형을, 열경화성 수지 즉 페놀계는 주로 압축성형용 금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비철금속인 동이나 아연, 알루미늄 등은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몰딩 제조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이와 같이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제작에 있어 현재까지는 동일 재료에 한하여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 상식으로 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ABS + PE 또는 PE + PT인 경우는 없었으며, 이를 필요로 하는 부품인 화장품 케이스(2중 색채 등)나 외장을 화려하게 장식해야 하는 부품에 대하여는 진공접합이나 혹은 초음파 접합법에 의해 가공되었다. 접합법에 의한 가공은 소요시간이 많이 들어 가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품의 용도 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일본의 TAISEI Plastic Co., Ltd는 수년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수지와 비철금속(알루미늄 합금 A 5052 H34)의 이종재료 접합을 금형 속에서 사출 성형으로 할 수 있는 공법개발에 성공하게 되었고, 가공품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로 시험편을 성형하여 접합 점착력의 인장시험을 하였다. 인장시험 결과 200kgf/cm2 정도의 인장력에 견디는 것이 확인 되어 기계요소 부품의 보스나 리브로의 역할을 충분히 해 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열 충격에도 높은 값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TAISEI사는 이를 계기로, 수지와 동 또는 아연합금과의 접합을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가공할 수 있는 공법의 개발에 적극적인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 이제까지 프레스 기술과 플라스틱 성형기술이 융합하는 장면은 보기가 어려웠으나, 금번 개발된 NMT(Nanometer Molding Technology)공법은 이의 특이한 기술을 조합시켜 처음으로 다이캐스트 공법이나 틱소 성형법(thixomolding)의 대체공법으로 가전제품 등의 외장 부품이 저 코스트로 제조 될 수 있게 되었다.

□ 이종재료의 접합기술 개발은 많은 부품의 용도 범위를 대폭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어 획기적인 기술이라 생각된다.
저자
Naritomi,Masanor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41(8)
잡지명
프레스기술(M17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5~79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