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 판금가공 공장에서 미세, 극박 용접
- 전문가 제언
-
□ 전자기기의 소형화/경량화에 맞추어 마이크로 접합부의 강도, 전기전도도 등과 같은 품질을 위해 솔더링 접합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솔더재료에서 Pb-Sn계 솔더를 사용한 전자기기의 폐기 시에 산성비에 의해 솔더 중에 함유된 납(Pb) 성분이 용출되어 지하수를 오염시켜 지능 저하와 생식기능 저하 등 인체에 해를 입히는 환경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솔더를 사용하지 않는 마이크로 저항용접과 같은 미세용접가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전자산업, 광통신 제품, 미세전자기기시스템(MEMS) 등 첨단 산업에 사용되는 경박단소 제품 또는 미세/미소한 부품류의 접합공정에 사용되는 미세용접가공에는 마이크로 저항용접을 비롯하여 레이저 용접, 마이크로 브레이징, 마이크로 플라즈마 용접 등이 있는데 극박판 재료를 용접할 때에는 과도한 용융과 용접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용접공정 조건의 설정이 필요하다.
□ 향후 미세/미소부의 접합공정에서 본격적으로 널리 이용될 것으로 예측되는 마이크로 저항용접을 포함한 미세용접가공기술의 용접효율을 높이고 용접품질을 향상시키며 극박판 용접기술의 국내 자립과 보급을 위해 국내의 용접장비 제조업계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지원해야겠다.
- 저자
- Akira Ao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1(8)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2~74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