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 하이드로포밍 가공의 포인트
- 전문가 제언
-
□ 튜브하이드로 포밍 가공은 소재인 파이프의 양쪽 끝에 원통형의 치구를 삽입하고 물을 내부에 주입 한 후, 별도의 고압 발생장치로부터 파이프 내의 물을 가압하여 금형형상에 따라서 재료(파이프 류)를 성형하는 가공법이므로, 프레스에 의한 성형공법과 비교 했을 경우, 기대되는 효과는 크다.
□ 그의 효과로는 프레스 성형품에 비하여, 부품의 가지 수, 용접코스트의 삭감 및 금형투자의 삭감이 기대되며, 차량부품에 적용하였을 경우, 특히 차체 골격구조에 적용하면, 많은 경량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반면에, 튜브하이드로 성형가공 기술의 개발 과제도 만만치 않다. 프레스 성형가공에 비하여 성형 사이클 타임이 길고, 소재 이용 율이 낮으며, 부품과 부품의 결합방법의 해결이다. 이러한 과제들이 해결된다면 앞으로의 전망은 기대해도 좋을 것으로 본다.
□ 자동차 보디성형에 적용확대의 전망이다. 자동차 보디는 주행 중의 진동이나 충돌시의 충격에너지의 흡수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디 소재인 파이프재의 재료 두께를 얇게 하고 고 장력화 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는 980Mpa급의 고 장력 재료를 사용한 예는 있으나 재료의 불균일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 튜브하이드로 성형가공은 설비의 간편화가 필요하다. 성형기 본체와 금형부분, 가압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계의 설치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할 뿐만이 아니라 시설비가 고가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극력 해결해 진다면 금속성형기술로서 새로운 장을 열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자동차 구조의 개념이 바뀔 것으로도 기대된다.
- 저자
- Takashi, KOMATS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1(7)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3~27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