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 하이드로포밍 기술의 현황과 미래 동향
- 전문가 제언
-
□ 튜브하이드로 포밍 기법은 소재인 파이프 양끝에 원통형의 치구를 삽입하고 물을 내부에 주입 한 후, 별도의 고압 발생장치로부터 파이프 내의 물을 가압하여 금형형상에 따라서 재료(파이프 류)가 변형하도록 하는 성형법으로, 관재의 새로운 성형가공 기술이다.
□ 튜브하이드로 포밍 기법의 효과로는 프레스 성형품에 비하여, 부품개수, 용접코스트의 삭감과 금형투자의 삭감이 기대되며, 차량부품에 적용하였을 경우, 특히 차체 골격구조에 적용하면, 많은 경량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반면, 튜브하이드로 포밍 기술은 이제 개발단계에 있는 기술이므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대체적으로, 성형 사이클 타임의 단축, 소재 이용률의 향상, 부품과 부품의 결합방법의 해결, 가공기의 코스트 다운과, 사용에너지 절감, 시뮬레이션 기법의 확립 등이다. 성형시뮬레이션 기법의 개발에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가공조건이나 금형조건을 예측하고는 있지만 재료 변형 경로라든지, 개발 되어야 할 내용이 많이 남아 있다. 이러한 과제들이 해결된다면 앞으로의 전망은 기대해도 좋은 성형 기술이다.
□ 튜브하이드로 기법의 자동차 차체부품에의 적용확대이다. 자동차 바디는 주행 중의 진동이나 충돌시의 충격에너지의 흡수 등의 과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디 소재인 파이프재의 재료 두께를 얇게 하고 고장력화 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는 980Mpa급의 고장력 재료를 사용한 예는 있으나 재료의 불균일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점차 해결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따라서 하이드로 성형가공은 설비의 간편화, 성형기의 저가화, 시뮬레이션기법의 확립 등 관련한 문제점이 해결 된다면 금속성형기술로서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Kenichi, MANA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1(7)
- 잡지명
- 프레스기술(M17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