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고의 현황과 고령자 사고(Present Status of Automoble Accidents and Traffic Accidents of Senior People)
- 전문가 제언
-
□ 기술된 내용은 자동차의 생산과 마케팅 등에 관한 기술적인 내용이 아니므로, 과학기술 측면에서의 특별한 의견 제시가 적절치는 않다고 생각하나, 일본정부 교통사고 종합분석기관의 조사통계를 바탕으로, 대인, 대물, 연령층별 자동차와 관련된 교통사고의 구체적인 양상을 조사 분석하고, 특히 고령자에 대한 교통 환경 개선책을 제시 하였다는 점에 관심을 갖게 해 준다.
□ 고령자에 사고가 많다는 것은, 산만하고 행동이 느리며 심신기능의 저하가 사고발생의 일부에 해당되며, 교차로에서 운전자는 상대차량의 움직임이나 주변상황 등의 정보를 잘 인식하고 적절히 판단하여 행동하여야 할 것이다. 고령자에게 교차로 사고가 많다는 것은, 인지, 판단, 조작에 적절한 대응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고령자는 자신을 과신하지 말고, 시력과 청력 등의 저하, 인지 능력, 상황 판단과 정보처리 등의 판단력,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조작능력 등이 더디다는 것을 이해하고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 특히 우리나라의 교통사고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대단히 높은 편으로, 늘어나는 자동차 대수와 정비례하여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사고 사망자 수의 저감을 위하여, 특히 경찰과 교통관련 기관들이 적극 협력하여, 교통 환경 개선을 위한 가용자원의 조속한 활용을 통해, 도로 및 신호등의 설비확충과 교육 및 홍보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Takakishi kasu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7(12)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14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