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능동안전기술의 전망(충돌사고 회피기술)

전문가 제언
□ 일본 교통사고총합분석센터(ITAR-DA)의 보고에 의하면, 사망 중상사고의 약 70%는 전방부주의와 안전확인 불충분 등 「인지의 지체」에 기인하여 발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는 교통사고이나, 연간 100만 건의 사고가 일본에서 발생하고 있고, 이 가운데 65세 이상의 운전자에 의한 사고가 1980년에 비하여 매우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나 핸들 조작을 하지 않는 운전자가 40% 가까이 된다.

□ 일본에서 사전 충돌(pre crush)이라고 부르는 사고회피기술의 개발은, 1980년대부터 전세계의 자동차메이커가 시작하였으나, 시판된 자동차에 탑재된 것은 2002년 이후가 된다. 이에는 주변상황을 감시하는 눈과 귀에 해당하는 센서기술, 차량이 출동할 것 같은 상황에 있는가를 판단하고 필요한 기능을 명령하는 두뇌 즉 컴퓨터기술 및 이의 명령에 따라 움직여 주는 파워스티어링, 파워브레이크 및 안전벨트를 조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등의 경보 시스템 기술이 최근에 급격하게 발달하였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 것이다.

□ 2002년에 시판한 Daimler Chrysler "Mercedes Benz S클래스“의 「PRE SAFE」, 안전벨트를 조이고, 브레이크 압을 높여놓는 2003년 2월 시판의 Toyota “해리어”, 앞서가는 차량과 충돌할 것 같으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2003년 6월 시판의 Honda "인스파이어“와 Nissan의 긴급 브레이크 감응형 사전 충돌(pre crush) 안전벨트 등이 있다.

□ EU의 「EURECA」국제공동개발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되고 있는 AF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가 일본에서는 Active Headlight 기술이라 불리는 야간주행 시야확보기술이다. 이는 커브 길에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헤드램프를 회전시켜 조명하는 등의 시스템기술로서 많은 자동차에 탑재되어 시판되고 있다.
저자
Masao Naga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57(12)
잡지명
자동차기술(A081)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8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