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끄럼 베어링의 무연화

전문가 제언
□ 베어링과 접촉하고 있는 축 부분을 저널(journal)이라고 하며, 그 접촉상태에 따라 미끄럼베어링과 구름베어링의 두 종류로 분류한다. 미끄럼베어링은 베어링이 저널부의 표면 전부 또는 표면의 일부를 둘러싼 것 같이 되어 있으며, 베어링과 저널의 접촉면 사이에는 보통 윤활유가 있다. 이 베어링은 면과 면이 접촉하기 때문에 축이 회전할 때 마찰저항이 구름베어링보다 크지만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은 일반적으로 크다.

□ 미끄럼베어링은 축이 회전할 때의 마찰열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윤활이 필요하며, 사용 중 마모로 인해 구멍이 커지므로 가락지와 같은 부시 메탈을 저널과 접촉하는 구멍부에 끼워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 주성분이 Pb 또는 Sn인 베어링용 합금을 특히 화이트메탈이라 하는데,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Sn계 화이트메탈이 경도, 고온에서의 성능, 열전도 등의 면에서 납을 주성분으로 하고 Sb와 Sn을 섞은 Pb계 화이트메탈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Pb가 Sn보다 싸기 때문에, 하중이 작고 그다지 높은 온도가 요구되지 않는 부분의 베어링용으로 Pb계 화이트메탈이 많이 이용된다.

□ 납은 그 자체는 말할 것도 없고, 가용성 납 등 체내에서 녹아 납이온을 생성하는 것은 모두 유독하다. 현재도 납이나 납을 함유하는 제품을 다루는 직업에서는 직업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 국내 베어링 업계에서는 아직 무연화에 대해 관심을 크게 기울이지 않고 실정이나 환경은 오염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신념으로 하루 빨리 모든 베어링 생산 공정을 무연화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자
Takashi TOMIKAW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7(11)
잡지명
자동차기술(A08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4~68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