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용 전착 도료의 무연화
- 전문가 제언
-
□ 전착 도료의 무연화 개발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 자동차 차체 도장 라인에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트럭용 프레임에는 차체용 전착 도료와는 달리 내후성을 가진 전착 도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적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 비납계 안정제는 납계 안정제와 동등한 특성을 내기 위해 복합체로 되어 있으며, 현재로는 고가이다. 그러나 앞으로 각 방면에서의 무연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생산량이 증가되면 가격이 저하될 것으로 기대된다.
□ 양이온형 무연 전착 도료의 기술 개발은 이미 어느 정도 개발되어 있으며, 판로개척도 착실히 진행되고 있다. 도료 개발에 있어서 최대의 기술 과제는 납을 대체하는 방청재료 확보기술이다.
□ 자동차에 처음으로 무연형 전착 도료가 채용된 것은 1998년이지만, 2000년경부터 급속히 확산되기 시작하여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완전히 무연형이 채택되고 있다. 일반 공업용의 경우 가전제품 용도에서 무연형이 채택되고 있으며, 건재 용도로 자동차용과 동등한 저온 소부형 고내식성 무연 양이온 전착 도료의 채택이 진행되고 있다.
□ 또한 다른 필요로 경제성 향상이 중요하며, 도막의 비중 감소, 휘발성 물질의 억제 등 도료 사용량을 저감시키는 쪽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앞으로 전착 도료는 초환경 대응으로 초경제성을 구비한 도료로 개발되어야 하며, 도장 공정의 개선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프레임용 전착 도료를 무연화하기 위해서는 기본 수지로 에폭시 수지의 염기도와 아크릴 수지의 염기도를 개량할 필요가 있으며, 경화제로서는 비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는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 저자
- Toshiyuki Kanesaka : Soichi Takahashi : Yutaka Matsumi : Akitoshi Shiras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3
- 권(호)
- 57(11)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9~43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