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이온 전착도료의 무연화 기술

전문가 제언
□ 양이온형 무연형 전착도료의 기술개발은 이미 어느 정도 개발되어 있으며, 시장전개도 착실히 진행되고 있다. 도료개발에 있어서 최대의 기술과제는 납을 대체하는 방청기술이다.

□ 자동차에 처음으로 무연형 전착도료가 채용된 것은 1998년이지만, 2000년경부터 급속히 전개되기 시작하여 현재 자동차 보디라인의 경우 일부 국가에서는 완전히 무연형이 채택되고 있다. 일반 공업용의 경우 가전제품 용도에서 무연형이 채택되고 있으며, 건재 용도로서 자동차용과 동등한 저온 소부형 고내식성 무연 양이온 전착도료의 채택이 진행되고 있다.

□ 기술적 측면에서 보면 주석은 아직 유해금속으로 법규제를 받지 않고 있지만 앞으로 주석도 규제될지도 모른다. 전착도료는 저용제의 수성도료이므로 저VOC화나 HAPs에 대한 대응이 미국을 중심으로 이미 추진되고 있다. 에너지 절약, 자원절약 차원에서 저온소부형의 개발이나 도장공정 삭감, 세척수의 리사이클 등에 대한 실용화도 추진되고 있다.

□ 또한 다른 니즈로서 경제성 향상이 중요하며, 외판막 두께의 박막화, 도막비중 감소, 휘산물질량 억제 등 도료사용량을 저감시키는 쪽으로 진행되고 있다.

□ 앞으로 전착도료는 초환경대응으로 초경제성을 구비한 도료로서 전개되어야 하며, 도장공정의 변혁 또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Susumu Midogoc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3
권(호)
57(11)
잡지명
자동차기술(A081)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4~38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