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료 탱크용 강판의 무연화

전문가 제언
□ 지금까지 자동차 연료탱크용 재료로 사용되는 강판으로는 제조상, 사용상 특성 밸런스가 뛰어난 Pb-Sn 합금 도금 강판(terne sheet)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Pb는 환경에 아주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용을 줄여야 하고 Pb-Sn 합금 도금 강판의 새로운 대체품으로 이용될 도금 강판의 개발이 추진되었다.

□ 환경부하 물질에 대한 사용 규제는 최근에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2003년 7월 이후 상용화된 차량의 일부 부품을 제외하고 Pb, Hg, Cd 등의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일본에서도 Pb 사용량을 1996년 대비 2005년말 까지 1/3 이하로 줄이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에 적응하기 위해 자동차 메이커나 철강 메이커는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 이러한 조치의 대책으로 무연 연료탱크용 강판 재료 사용이 대두되고, 이를 위해서 일본에서는 용융 Sn-Zn 도금 강판, 용융 Al 도금 강판, 유기 피복 합금화 용융 Zn 도금 강판, 용융 Zn 도금(GI)+Ni2층 도금 강판 등이 개발되어 자동차 메이커에서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용융 Sn-Zn 도금 강판, 용융 Zn(GI)+Ni2층 도금 강판 및 용융 Al 도금 강판의 개발과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 결론적으로 환경을 고려해서 Pb 사용을 줄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Pb-Sn 합금 도금 강판 대신 무연 도금 강판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고에서 소개한 무연 도금 강판은 Pb-Sn 합금 도금 강판과 비교해서 특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각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실용화하여 Pb 사용량을 줄이는데 크게 공헌하고 있다.

□ 새로 개발된 무연 도금 강판은 리사이클 성이 우수하고 미국의 탄화수소 배출 기준인 ZEV(Zero Emission Vehicle)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연료 탱크용 소재로 각광을 받아 향후 그 확대가 크게 기대된다.
저자
Masao Kurosaki et al.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7(11)
잡지명
자동차기술(A08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4~29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