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속 엘리베이터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대만의 타이페이(台北)시에 건설한 지상 101층, 높이 508m의 고층 빌딩 내에 약 40초에 지상에서 최상층까지 승객을 운반할 수 있는 1,010m/min의 세계 최고속 엘리베이터 2대를 (주)Toshiba전력이 설치하였다.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된 권상기로 로프를 구동하여 승객을 운반하는 박스와, 박스와의 중량 균형을 잡기위한 평형잡기용 추를 병을 달아매는 형식으로 하여 승강시키도록 하고 있다.
○ 권상기는 2권선식의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사용하며, 전동기의 정격 출력은 180kW급이다. 전자해석에 의해 전자진동을 피할 수 있는 특수 구조로 하였고, 구동제어 시스템은 독립된 컨버터/인버터를 2계통 제어하는 트윈 드라이브 방식을 택하였고, 제어에는 파워 일렉트로닉스 전용으로 개발된 고성능 MPU가 사용되어 전 디지털제어식을 이용하였다.
○ 본 엘리베이터는 초고층이므로 승강의 행정이 길고 고속에 가가속( 가속도의 변화율로 덜컥 덜컥 하는 현상을 Jerk라 하며, 단위는 m/s3으로 표시)이 크기 때문에 가속도 변동 시에 큰 탄성진동이 로프에 생기는 것을 예상하여 로프의 탄성을 보상하는 피드포워드 제어를 하므로 로프 탄성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진동이 적고 승차감이 양호한 승강기 제작에 성공하였다.
○ 2대의 승강기가 스쳐지나갈 때에 생기는 문제들에 관하여는 소개되지 않고 있으나, 이 문제는 고속전철에서 2대의 열차가 교행할 때의 현상과 유사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장치에는 권상기에 의한 로프 방식의 승강방식 이외에 선형 전동기(선형 유도전동기(LIM)이나 선형 동기전동기(LSM)에 의한 승강장치의 개발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상품화하여 실용화되고 있는 사례도 발표되고 있다. 권상기에 의한 것은 회전형 전동기를 사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화하지만, 선형 전동기인 경우에는 전기적 에너지를 바로 직선운동화 하기 때문에 운동 변환에 따른 중간 매개기구가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적고 기구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고속화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수반되므로 이들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어떻든 세계에서 최고속의 엘리베이터 개발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비교적 상세히 기술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개발관계자에게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라 생각된다.
- 저자
- Shigeo,NAKAGAKI, Tadashi,MUNAKA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7(10)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74~79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