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초고속 항공기의 고속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항공기가 공기 중을 비행할 때는 공기와의 마찰에 의해 기체 표면에서 열이 발생한다. 이러한 마찰에 의한 발열은 아음속 비행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초음속에서는 문제가 된다. 초음속 비행시의 공기와의 마찰열 제거문제는 중요한 기술의 하나라고 본다.
□ 항공기의 고속화에 따라 조종면 하중의 증대, 천이음속영역에서의 조타력의 이상현상은 동력조종장치의 사용을 일반화하였다. 초음속 항공기는 저속영역, 천이음속영역 및 초음속영역에 걸쳐 비행하게 되는데, 각 영역이 변화할 때마다 정적 및 동적 안정성이 변화한다. 이러한 안정성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자동적인 안정성 확보장치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 초음속 항공기는 고속화와 충격음파를 낮추기 위해 동체가 가늘고 길어지며, 또 승객수, 항속거리, 이륙중량의 증가 등의 요인으로 동체굽힘 1차 진동수가 매우 낮아져 비행특성 고유진동모드의 진동수와 같은 크기가 된다. 따라서 구조진동모드의 저주파연성진동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성진동수가 저주파라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이를 개선할 대책이 필요하다.
- 저자
- Keiji Sato, Tsuyoshi Otsuki, Noriaki Arak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7(10)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2~67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