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버스의 쾌적성
- 전문가 제언
-
□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통하여, 일본의 장거리 주행용 대형버스의 발전 과정과 현재의 상황을 주로 기술적 측면에서 검토하였으나, 한마디로 말해서 우리나라의 고속버스도 대체적으로는 일본과 같은 수준에 있다고 보여 진다. 다만 참고해야할 문제점 이라면, 고속버스의 쾌적성향상을 위해서 필요부분에 대한 더욱 심도 있는 연구 개발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차체의 크기와 차내 공간의 합리적설계, 고출력 고속에 대응하는 엔진의 저소음화와 소음차단성능의 향상, 구동계통의 진동과 소음의 차단, 풍절음과 공기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차체의 조밀성 향상, 노면충격으로 직결되는 완충기와 스프링 등의 서스펜션 장치, 그리고 이것이 차체에 끼치는 하쉬니스(Harshness) 등, 이러한 문제들이 일본이나 우리나라 공히 더욱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중요 부분들 이라고 보는 것이다. 미처 모르는 조그마한 일이지만, 우리나라 고속버스에는 저 외기온도 제습장치의 장착이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버스 메이커가 가급적 속히 해결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Hideo Tachiban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7(10)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1~36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