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에서 본 쾌적성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의 기업이 생산하는 어떠한 상품이나 제품도 고객의 만족감을 도외시하고서는 그 기업이 성공할 수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그 만족감은 곧 고객에게 주는 쾌적성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본 쾌적성의 연구는 대단히 중요하다. 다만, 연구의 대상과 범위가 너무 다양하므로, 구체적인 공통의 연구목표를 설정하기가 어려우나, 그래도 현대의 경제생활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상품이나 제품에 대하여는 업종별로 쾌적성에 관한 연구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 본 논문에서는 주로 자동차에 대한 쾌적성을 심층 검토하였으나, 한마디로 말해서 자동차사용자에게 영향을 주는 쾌적성과 관련된 문제는 진동과 소음이 그 핵심이 되는 것이고, 이 진동과 소음을 대폭으로 저감하기 위해서는 결국, 차체설계에서부터 환경친화적 고효율 엔진, 구동계통, 완충장치, 신소재활용, 냉난방, 실내공간과 설비, 안전운행을 위한 카 네비게이션(Car Navigation) 등, 일련의 요소기술들이 가장 만족할만한 상태로 개발 되어야함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곧 자동차상품의 부가가치의 제고와 품질의 고급화를 뜻하는 것이고, 사용자에게 쾌적성을 안겨주어 국제경쟁에서 살아남는 길이 될 것이다.
□ 본 문헌을 통해서 판단해볼 때, 일본도 이 문제는 연구단계에 있다고 본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자동차에 관한한 한국자동차공업협회라든가 한국의사회가 협력하여 공동으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도 하나의 바람직한 일 이라고 사료된다.
- 저자
- Lguchi Hirokaz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7(10)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9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