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형 하이브리드 버스
- 전문가 제언
-
□ 근래에 세계의 주요자동차 메이커들이 지구온난화 대응과 자동차의 이산화탄소 배출억제를 위하여 자동차의 연비향상과 고효율화에 대한 연구개발에 큰 관심을 가지고 기술개발에 열중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위하여 이미 하이브리드 자동차라든가 대체연료를 사용한 자동차 등, 환경부하가 적은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어 승용차 분야에서는 상당한 진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여 일본정부의 보조와 NEDO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본의 Hino자동차가 고효율화와 저공해를 목적으로 하는 고효율 청정에너지 자동차의 연구개발로, 기존차 대비 연비를 2배로, 배출가스는 초저공해 수준을 목표로 하는 대형노선버스의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 중에 있어 또한 새롭게 주목할 만한 일 이라고 생각된다.
□ 이 대형버스는 “간접형 시리즈 패러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하여 엔진과 모터 겸용 발전기 사이에 있는 플라이 휠에 일방향 클러치를 장착하고, DME(dimethyl ether) 엔진을 탑재하였으며, 저 내부저항으로 효율이 높으며 출력밀도가 높은 고효율 축전장치인 울트라 커패시터(Ultra Capacitor)를 채용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현재로서는 일본에서도 이 하이브리드 대형버스가 아직은 실용화 단계 이전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역시 대도시 교통 환경과 디젤버스 배출가스의 대기오염 저감 및 연비향상의 제고를 위해서도 이러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대형버스의 연구개발과 실용화가 긴요하다고 사료된다.
- 저자
- Atsudhi Masuda, Atsuomi Obata, Seiichi Yamaguchi, Akira Sawayam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57(9)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0~105
- 분석자
- 차*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