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젤엔진의 최신 배기정화기술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은 배기관으로부터의 배출가스, 그 외의 부위에서 배출되는 불로바이(blow-by)가스 및 증발가스로 분류된다. 배출가스 중에는 CO, HC, NOx가 함유되어 있고, 또 불로바이가스와 증발가스의 대부분은 HC이다. 디젤엔진은 공기 과잉율이 큰 영역에서 연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CO와 HC의 배출량이 적은 반면 NOx와 입자상물질의 배출량이 많고, 이들의 저감이 디젤엔진의 과제임이 본 자료에서도 지적되어 있다.
□ 입자상물질은 시계악화 원인이 되는 외에 건강에 악영향(발암성)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선진 각국에서는 배출규제의 실시 및 강화되고 있다. PM의 저감을 위해서는 연료성질의 개선이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 NOx는 자동차로부터 배출될 때 NO가 거의 대부분이고, 이 NO는 대단히 불안정한 물질로 대기 중에서 NO2로 변화한다. 이때 광학옥시던트(Ox)는 NOx와 HC가 태양에너지에 의해 화학반응으로 생성된다. 이 Ox의 주성분은 90%이상이 오존(O3)으로 눈, 목, 코의 자극 등 인체에 악영향을 준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주 수출 선진국들(미국, 유럽, 호주, 일본 등)은 계속 NOx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디젤엔진 승용차 시판을 2005년부터 허용함에 따라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PM, NOx의 증가로 대기오염에 의한 생활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기 전에 본 자료에서 자적한 것을 참고로, 연료성질의 개선 및 고정화 배기후처리 시스템 개발을 서둘러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료성상의 개선은 많은 시간과 투자비가 소요됨으로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추진이 요망된다.
- 저자
- Tosiaki Ta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57(9)
- 잡지명
- 자동차기술(A08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5~70
- 분석자
- 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