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제어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계가공 자동화, 무인화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기계가공에 대한 자동화, 무인화시스템은 분산제어, 데이터의 일원화 관리는 유저(user)에게 다른 윈도우즈용 소프트웨어를 컨트롤러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성과 작업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산계획의 진행과 작업자에게 지시, 가공실적 보고, 진행작업 실태보고, 가공상태 보고, 설비이상 발생이력, 보수점검정보 보고 등이 네트워크에 의하여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과의 통신으로 연결함으로서 지시서 배부, 보고서 작성 등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향후의 자동화, 무인화 시스템은 컨트롤러의 비주얼 표시로 작업자가 알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컨트롤러를 제공하게 될 것이고 부품 및 조립을 중심으로 반송장치,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기계가공에 대한 자동화에서 부품과 부품조립의 자동화, 무인화로 발전시킨 생산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에 의한 컴퓨터 통합생산은 제품의 설계, 생산계획, 생산관리 및 관리부문 등 생산의 전체과정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공장의 주력이 되고 있는 기기류의 제어는 각 기기가 갖춘 컨트롤러(programmable controller)가 하고 별도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것을 이더넷(ethernet)화 하여 제어와 관리를 일원화하는 것으로 생산의 관리(공장의 부서들)와 관리부문(본사의 부서들)을 중심으로 한 회사전체의 정보처리를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CIM에 의하여 생산성, 유연성, 확장성, 상호접속성 등을 갖추고 제어+관리(제어는 분산+ 관리는 집중)로 하여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부품을 수출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저자
- Noriki Osaka, Toshiki Nagatsu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4(13)
- 잡지명
- 툴엔지니어(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40~45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