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고품위 가공을 실현하는 절삭공구 동향
- 전문가 제언
-
□ 절삭가공 공정은 제품제조에 있어 중핵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따라서 절삭가공 기술을 여하히 발전시킬 것인가에 따라서 제품의 품질향상은 물론 가격경쟁력도 갖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절삭 가공에 관련된 설비나 설비에서 필요로 하고 있는 공구 등의 최적 선택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라 하겠다.
□ 최근 절삭가공 설비시스템은 새로운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 그것은 바로 공정의 집약화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공작기계의 복합화와 다축화이다. 이것은 빈번한 설계변경과 다양한 시장 요구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로 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설치 공간의 절약에도 도움이 되어 전체적인 코스트 저감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 하에 최근 NC복합터닝센터나 머시닝센터 등의 도입이 급증하고 있다. 이들의 도입에 의해 가공속도, 가공정밀도는 자리수가 다르게 향상 되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설비의 초기투자가 전체 투자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코스트 저감에 문제가 있기도 하다. 때문에 근자에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범용기계의 복합화 즉, 선삭과 밀링가공이 동시에 수행 될 수 있는 범용 복합기계의 도입 적극 추진되고 있다. 가공기계가 진전되면 이에 따라 필수적인 것이 절삭공구이다.
□ 고속에 고품위의 가공을 실현하려면 가공기계는 물론이려니와 필수적인 절삭공구의 품질 또한 뒷받침이 되어야한다. 최근에는 절삭공구의 장수명화를 위하여 cBN, TiAlN, TiC등의 소결체에 DLC(diamond like carbon)코팅이나 PVD, CVD의 코팅을 한 1회용(throwaway tip)절삭공구 팁이 시중에 많이 공급되고 있어 가공정밀도의 향상은 물론 공구연삭시간의 절감과 공구 교환 때문에 발생하는 시간의 손실이 대폭 저감되고 있다.
□ 절삭공구를 파지 홀드하는 기구 또한 중요하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가공용 미세드릴은 지름이 50μm 정도로 이를 변형 없이 파지하는 것도 용이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열 박음 파지기구의 개발 등이 필요하며, 전기저항에 의한 공구의 열 박음 파지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 저자
- MATSUOKA, Takam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4(9)
- 잡지명
- 툴엔지니어(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4~19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