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가스터빈용 플레이트 & 핀 타입 재생기(Plate-fine type recuperator for micro gas turbine and its application)
- 전문가 제언
-
□ 분산형 발전 시스템으로 활용되는 마이크로 가스터빈(MGT)에 의한 발전은 장치설치가 간단하고 기체연료나 액체연료 사용이 가능하고 그 배출가스도 다른 내연기관에 비해 깨끗하다. 소비지에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송전손실 없고 폐열에 의한 냉난방도 가능하여 높은 열효율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발전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효율적으로 열 교환을 할 수 있는 배열 회수기(재생기, recuperator)가 요점이 된다, 자동차용 열교환기는 200℃ 정도의 온도영역에서 작동하는데 비해서 마이크로 가스터빈의 재생기는 제 1세대는 650℃, 제3세대는 1,000℃ 가까이에서 작동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고온이 되면 금속 접합의 문제, 열에 의한 변형문제, 실용적으로 견딜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적정한 가격에 대량으로 제조하는 기술 등의 문제가 대두된다.
□ 일본의 유수한 자동차 용 라디에이터 전문 메이커인 Toyo Radiator社는 미국의 Allied Signal社(후에 Honeywell社)와 공동으로 신뢰성 있는 재생기 양산기술과 초고온 재료를 개발하였으며 그 후 미국회사가 본 사업에서 퇴출한 이후에는 사업을 단독으로 인수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본문은 자동차 열교환기의 요소 기술과 양산기술을 응용하여 75kw MGT용 플레이트 앤 핀 타입(Plate and Fin type)의 재생기를 개발한 내용과, 구조, 특징, 신뢰성 시험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또한 열효율을 개선하고 열교환기 원가를 저감할 수 있는 중간냉각식 재생사이클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 미래의 고효율 발전 시스템으로 기대되고 있는 MGT(마이크로 가스터빈)는 국내에서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과 전력연구원 등에서 실험용 장치를 개발하여 장치와 성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Toyo Radiator社에서만 MGT 용 재생기를 1,100대 정도 제작하여 시험용 및 시장에 출하하고 있음을 볼 때 분산형 전원 개발과 발전시스템의 다양화를 위해 국내에서도 MGT 및 그 구성부품인 재생기에 대하여 신속하고 꾸준한 연구 노력이 요망된다.
- 저자
- K. NAKANO, T. IWAMOTO, T. YAMAZ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31(5)
- 잡지명
- 일본가스터빈학회지(M02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24~329
- 분석자
- 이*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