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균검사의 자동화 - Sensi Media법과 디지털 현미경법
- 전문가 제언
-
□ 배양형 검출시스템은 시료를 배양하고 그 중에 포함된 균이 증식하였을 때에 생기는 변화검출요소로서 검토하고 증식정도를 나타내는 변화 중에서 무엇이 검출요소로서 적합한지 또 어떠한 검출기구가 그 변화를 검출하는 데에 적합한지를 검토하게 된다. 이 검출요소의 검토에서 균의 증식정도와 그것에 의한 변화량과의 사이의 상관성이 시스템 전체의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세균검사를 자동화하면서 생균을 확실하게 검출하는 시스템으로서 센시미디어법과 디지털현미경법이 있다. 센시미디어법은 CO2의 증가를 배양하면서 무접촉으로 검지하는 방법을 정성시험용 검출요소로서 채용하고 디지털 현미경법은 배양하면서 콜로니를 검출하는 방법을 주로 정량시험용 검출요소로 채용하고 있다.
□ 센시미디어법과 디지털현미경법 모두 검사기기 자체는 세균검출능력과 판정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기기자체는 사람의 손을 빌려서 실시되는 작업을 리얼타임으로 처리가능 하도록 하여 수치화를 염두에 두고 자동화한 것이다. 센시미디어법은 균검출성능을 사용하고 있는 SensiMedia™에 의존하고 있고 그 성능은 배양액을 개발했을 때의 데이터의 치밀도에 의존하고 있으며 데이터수집에는 Biomatic™VDCS와 Biomatic™20이 필요하다.
□ 디지털현미경법은 균검출의 성능은 사용하는 한천배지의 성능에 의존하고 있다. 한천배지는 액체배지에 의하여 기본성능을 파악하여 한천을 첨가하면 제조가 가능하고 액체배지는 센시미디어법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보다 좋은 한천배지는 센시미디어법으로 개선될 수 있고 개선된 한천배지는 Biomatic™DMCS에 의하여 그래프로 정확히 평가될 수 있다. 이 DMCS시스템도 VDCS시스템과 똑같이 연구 및 개발도구이기도 하고 동시에 세균검사기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기 방법들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자동화하면 균의 증식과 억제시험이 가능하고 배양액의 평가결과도 그래프로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어 세균검사의 능률, 효율 및 확률이 더욱 향상될 것이다.
- 저자
- Ogawa Hiroy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0(12)
- 잡지명
- 식품기계장치(L1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7~103
- 분석자
- 성*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