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에 의한 건강위해발생과 예방대책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의 식중독에 관한 관리와 환경문제는 앞서 본 일본의 예와 크게 다를 바 없으나 단지 다른 점은 식재와 그에 따른 식중독균의 다른 점 그리고 위생시설의 전국적인 보급과 관리라고 하겠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외래식품의 유입과 식생활의 다양화(다이어트 식품이나 성인병 예방을 위한 건강식품 등)로 인해 식생활 방식의 국가 간의 차이가 사라지고 있다.
□ 학교나 기업 등 대량 급식 시설과 대형화된 음식점 등의 위생에 대한 문제점은 훨씬 심각하며 이로 인한 대형 식중독 사고가 연례행사처럼 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 어느 나라나 공통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규정이나 제도는 매년 개선되고 있으면서도 좀처럼 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최근 외국에서는 철저한 위생관리를 위해 HACCP 등 식품의 원료로부터 배송, 저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리규정을 만들어 시행하고 있으나 아직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것은 어느 나라나 식품에 관한 한 관리의무에 강제성을 띠지 못하는데 그 원인이 있다고 본다. 환자만이 먹는 의약품에 대해서는 CGMP 등 철저한 관리규정을 의무적으로 강제시행하면서도 모든 사람이 매일 먹는 식품에 대해서는 이를 시행하지 못하는 것은 단지 워낙 광범위하여 관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형 급식시설만이라도 식품원료로부터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관리규정의 시행을 의무화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병원균에 대해서는 현장에 분석 키트(Kit)를 비치하고 정기적인 확인을 하도록 의무화하여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영양사의 경우도 칼로리 검사뿐 아니라 식품위생 관련 교육을 더욱 철저히 하여 관리에 임하도록 의무화해야 한다.
- 저자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0(11)
- 잡지명
- 식품기계장치(L1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9~53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