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 Traceability 시스템의 내용과 사례
- 전문가 제언
-
□ 음식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식품의 생산 및 유통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재배단계에서부터 정보를 일일이 상세하게 입력한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행하고 있지 않으나, 우리나라도 2006년부터는 쇠고기나 채소를 살 때 병력이나 잔류 농약량 등 식품의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소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생산이력관리제도가 도입된다. 또 2014년까지 농약 사용량을 현재보다 40% 줄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농림부는 식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이와 같은 내용의 농식품안전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최근 롯데백화점에서는 이 시스템을 적용하여 사육 관리된 한우를 「우리얼 한우」로 브랜드화하고 출시하여 소비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기도 하였다.
□ 이제 농업도 국제화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발벗고 뛰어야 한다. 소비자가 찾아다니는 농산물을 만들어야 한다. 개방된 사회에서 물밀듯 들어오는 값싼 농산물에 넋 놓고 당할 수만은 없지 않은가. 값싼 농산물만 소비되는 시장에서 살아남으려고 노력하는 것은 무모하다. 우리 모두 발상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저자
- SO Komae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0(10)
- 잡지명
- 식품기계장치(L1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1~95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