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틸 벨트에 의한 식품반송
- 전문가 제언
-
□ 최근 수입식육이나 냉동식품, 아이스크림류 등에서 살모넬라, 병원성 대장균 O-157, 리스테리아 등의 식중독 세균이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으며, 농약이나 잔류수의약품, 항생물질, 중금속 및 화학물질에 의한 위해 발생도 광역화되면서 식품의 위생안전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 그래서 우리나라는 이들 위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 운 위생관리기법인 HACCP를 1992년부터 식품산업체에 도입하고 1995년 12월에는 식품위생법 제32조의 2항(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의 규정을 신설함으로써 HACCP의 법적 기틀을 마련한 바 있다.
□ 식품공장의 반송용 벨트에 대해서도 위생관리가 강화되어 식품에 대한 안전, 안심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벨트의 품질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식품용기의 반송은 물론 육류, 어류, 청과물 등의 식품재료나 반제품 또는 포장전의 식품 등의 직재반송에도 수지벨트가 이용되고 있으나 많은 문제점이 있다. 직재반송벨트에서 필요한 세균,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고, 세정, 살균이 간단하고, 이물질 혼입의 방지를 위하여 벨트자체에 스테인리스스틸을 이용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스틸코드로 짜여진 tension층이 있는 스틸강화 컨베이어벨트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용접부의 단차나 피로특성 그리고 풀리경의 문제 때문에 올스테인리스스틸 벨트이용이 지연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작은 풀리경이나 단차 등의 문제만 해결된다면 고온수, 고압세척과 내마모성 등의 장점 때문에 스테인리스스틸벨트의 식품산업에서의 이용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Kisogawa Ichiz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3
- 권(호)
- 40(8)
- 잡지명
- 식품기계장치(L1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4~79
- 분석자
- 성*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