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식품공장에서 청정화 기술과 장치

전문가 제언
□ 무균 환경의 클린룸 공간에서 식품 가공 작업장에서의 환기 횟수가 룸의 요구 청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개략 Class 1000에서는 환기 횟수가 50~70회/시간/실체적(㎥)에서 Class 100,000에서는 환기 횟수가 20〜30회/시간/실체적(㎥)으로 대형 닥트나 대형 팬이 적용된다. 즉 시설비용과 운전비용이 높은데 정확한 청정도 계산으로 요구 청정도에 맞추어 조합시키는 동시에 예산을 고려하여 공조계획을 세워야한다.

□ 생산 라인의 변경에 대비하여 룸 배치에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분진과 세균의 신속한 배출을 하기위해서 건축 내장재 선정과 마감재 접합에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유념해야 한다.

○ 표면은 내마모성이면서 분진 및 가스 흡착성이 낮아야 한다.

○ 투습성이 없고 열적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 마감재 표면이 균일 하여 분진 퇴적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침강된 분진이 마감재 이음 부분에 퇴적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모서리 부분과 직각 접합부는 둥글게 마감 처리한다.

□ 식품 제조공정에서 실내 공기 청정도에 대한 관리 규정을 세울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클린룸 내를 통과하고 있는 환기 닥트 내부의 청결은 실내 청정도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작업 종료 후 야간 대류의 기류 차이나 외부 진동으로 퇴적 분진이 실내로 밀려 올 수 있으므로 닥트 형상이나 재질 선정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저자
Mamoru OK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40(7)
잡지명
식품기계장치(L131)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3~91
분석자
문*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