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C를 고려한 공기청정화 설비
- 전문가 제언
-
□ 식품 가공장에 클린룸화를 하는데 있어서 설비수명과의 관계에서 단순히 설비 도입비용만이 아닌 총 소유비용(TCO:Total Cost of Ownership)으로 설비를 선택하는 것이 식품 제조설비에서는 중요하며 공기를 청결화 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식품의 안전과 안심, 실내 공기의 청정화 정도, 클린룸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식품제조환경 청정화의 요점과 구체적인 사례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식품 가공장에서 클린룸의 환기 회수가 실의 용도에 따라 청정도가 다르지만 개략 Class 1000에서는 환기 회수가 50-70회/시간/실체적(㎥)이고 Class 100,000에서는 환기 회수가 20-30회/시간/실체적(㎥)로 대형 닥트나 대형Fan이 적용된다. 시설비용과 운전비용이 높음으로 정확한 요구 청정도의 계산이 필요하다.
□ 생산 라인의 변경에 대비하여 실 배치에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분진과 세균의 신속한 배출을 하기위해서 건축 내장재 선정과 마감재 접합에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유념해야 한다.
○ 표면은 내마모성이면서 분진 및 가스 흡착성이 낮아야 한다.
○ 투습성이 없고 열적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 마감재 표면이 균일 하여 분진 퇴적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침강된 분진이 마감재 이음 부분에 퇴적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모서리 부분과 직각 접합부는 둥글게 마감 처리한다.
□ 식품 제조공정에서 실내 공기 청정도에 대한 관리 규정을 세울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클린룸 내를 통과하고 있는 환기 닥트 내부의 청결은 실내 청정도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작업 종료 후 야간 대류 기류 차이나 외부 진동으로 퇴적 분진이 실내로 밀려 올 수 있음으로 닥트 형상이나 재질 선정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Sawafuji RYUI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40(7)
- 잡지명
- 식품기계장치(L1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5~82
- 분석자
- 문*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