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공업에서 안전 및 위생관리를 위한 공조제어

전문가 제언
□ 위생관리상의 미생물 제어뿐만 아니라 위장 표시나 무허가 첨가물의 사용, 수입 야채의 잔류농약 문제 등으로 안전성의 확보는 당연한 인프라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강화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며 식품 생산 관련의 장치나 기자재에 대해서도 식품의 품질확보를 위한 기능이나 성능이 요구된다. 본고는 식품위생 관리상 식품사고의 현상, 미생물의 개요와 이물혼입의 현상, 식품 품질보증제도에 따른 GMP, PP, HACCP,농산물 생산이력의 도입 필요성, 오염제어를 위한 공조환경제어 시스템의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생산 라인의 변경에 대비하여 실 배치에 유연성을 가는 동시에 교차오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분진과 세균의 신속한 배출을 하기위해서 건축 내장재 선정과 마감재의 접합에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유념해야 한다.

○ 표면은 내마모성이면서 분진 및 가스 흡착성이 낮아야 한다.
○ 투습성이 없고 열적 성능이 우수해야 한다.
○ 마감재 표면이 균일 하여 분진 퇴적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침강된 분진이 마감재 이음 부분에 퇴적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 며 모서리 부분과 직각 접합부는 둥글게 마감 처리한다.

□ 클린룸 내를 통과하고 있는 환기 닥트 내부의 청결은 실내 청정도 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작업 종료 후 야간 대류 기류 차이나 외부 진동으로 퇴적 분진이 실내로 밀려오지 않도록 하기위한 닥트 형상이나 재질 선정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 단체급식에서의 식품위생사고는 식품취급자의 위생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부족한 것과 영세성에 기인된다고 판단되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저자
kitano HAY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40(7)
잡지명
식품기계장치(L131)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5~74
분석자
문*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