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공장의 공조환기
- 전문가 제언
-
□ 대량생산, 대량소비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도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외식산업의 발달 등 식품공장의 중요성이 날로 더해지고 있고, 특히 최근엔 집단 식중독사고의 빈발과 O-157, 조류독감 등 식품을 둘러싼 환경이 매우 중시되고 있다.
□ 클린룸의 도입이나, 공장의 GMP화 등 많은 최신 설비와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반면, 설비부분은 아직도 기존의 기술에 대한 맹목적용이 많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조리기구의 환기설비로서 대표되는 후드는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열, 냄새, 수증기, 연기 등 오염된 공기를 제거하기위해 더 큰 배기량이 요구되므로, 에너지비용과 최초설치비용을 줄이기 위해 후드의 배기량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이드커튼이나, 에어커튼을 조리기구양쪽에 설치하는 설계기법이 권장되어 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부분공조에 의해 실내의 난기류가 형성되어 기존 천정이나 내벽에 오염된 공기가 부착하여 청결문제와 오염문제를 일으키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공기순환 시뮬레이션결과와 실제 각 주방실의 현상이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따라서 조리기구 옆에 부분 환기설비를 설치하지 말고 또 설치하더라도 도입외기를 포함하여 실내 공기순환모형을 CFD 설계기법으로 확인하여 반영해야할 것이다. 또한 중요한 부분은 주방의 결로 방지대책 인데 외벽에 바로 접해있는 경우, 내부 결로로 인하여 벽에 비위생적인 부착물이 많아지므로 내외벽에 적절한 단열설계와 치밀한 시공으로 결로를 방지하는 것이 주방내의 위생관리에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 저자
- Shokuhido Das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40(7)
- 잡지명
- 식품기계장치(L13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8~64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