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생산기술에서 디지털 엔지니어링

전문가 제언
□ 고객지향형 제품개발과 변종변량 생산방식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어 왔으며, 예측불허의 급격하고도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시장환경과 다양화되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을 적기에 제공하는 기업만이 기업경쟁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되었다.

□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제품 데이터의 3차원 모델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또한 생산기술영역에서 IT 툴의 발전으로 제품개발/생산기술의 병행적 검토의 흐름이 정비되었다. 제품개발에 있어서는 정확한 목표설정과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실제의 공장을 디지털 공장(digital factory)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고, 생산기술에 있어서는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 엔지니어링(digital engineering)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스피디한 프로세스로 전환해 나가고 있다.

□ 디지털 엔지니어링에서는 3차원 제품 데이터와 3차원 자원 데이터로 공정단위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검증 시스템에 의해 가상제작(VM: Virtual Manufacturing)을 검증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가상제작은 공정의 탁상검증을 지칭하는데, 여기서 검증된 결과는 3차원 공정 데이터로서 보관되어 생산준비에서 각 프로세스의 공유 데이터로서 활용된다.

□ 실제 생산공정에서 양산준비를 위해 디지털 엔지니어링의 일환으로서 3차원 공정 데이터와 가상제작을 자동차 차체조립 영역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작업자를 포함한 작업성, 어거노믹스(ergonomics), 로봇 동작중의 간섭 등 검증을 거쳐 최종의 3차원 공정 데이터가 공정마다에 생성되도록 하였으며, 모든 공정에서 가상제작에 의한 검증이 필요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종검증으로서 디지털 툴링 트라이아웃(Digital Tooling Tryout)이 실행된다.
저자
Tatsuda Yasud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3
권(호)
48(9)
잡지명
오토메이션(L124)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8~32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