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합가공기의 현황과 장래
- 전문가 제언
-
□ 일반 선반이 NC화 되는 경향은 오래 전부터지만 머시닝센터의 툴 매거진을 NC선반에 적용시켜 복합화 하여 공정을 단축하고 주축을 9개 까지 장착하여 능률을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은 매우 특이 하다. 공작물의 탈착 시 발생하는 시간손실과 정밀도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생각한 것은 매우 유익하다고 생각되지만 고가의 설비비와 고급인력 즉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기술자의 확보는 일반 NC 때보다 더 많은 경험을 가진 경력이 풍부한 기술자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 장비가 다소 고가이긴 하지만 공작물이 아주 복잡하고 수량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공정을 분해하여 별도의 지그를 새롭게 제작하는 수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는 특수하게 이용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제품을 처음 개발하여 판매 숫자가 불투명할 경우와 사출기의 스크루 같은 복잡한 가공품에는 확실하게 유리하다고 생각 된다.
□ 다만 고급기계를 하루 가동시간을 전체 활용할 수 있을 만큼의 수주량을 확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시설 투자를 결심하게 되는 것이다.
- 저자
- Kakino Yoshi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7(11)
- 잡지명
- 툴엔지니어(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