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합금 압연판의 개발과 활용기술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 합금은 비중이 철의 1/4.5, 아연의 1/4, 그리고 경량화 합금의 대표 격인 알루미늄의 2/3로서 실용 합금 중에서 비중이 가장 작고 비강성이나 비강도가 좋아 자동차와 항공기 등의 경량합금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합금은 판재의 가격이 알루미늄의 10배가 넘는 고가이어서 구조재료로서 이용이 매우 낮은 실정으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브의 주조기술과 압연재의 가공기술, 그리고 온간성형기술 등에 관한 연구개발이 선진각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 양질의 마그네슘 압연판재를 저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본고에서 예시한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이종금속을 온간압연으로 접합하여 클래드 코일을 만드는 생산설비를 활용하여 마그네슘 합금을 온간 코일 압연하는 기술 등을 참고로 하여 실용적인 생산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한 마그네슘 합금에 요구되는 성질중의 하나인 용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마그네슘 합금의 낮은 용융점, 낮은 기화점, 산소와의 빠른 친화력, 취약한 금속간 화합물 등과 같이 용접에 제약을 주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용접성을 일정수준으로 갖춘 용접모재와 용접시공 등을 자동차 제작회사도 함께 참여하여 종합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자동차와 전기․전자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의 국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본고에서 제공하는 기술 정보는 향후 마그네슘 합금 압연판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Masayuki Shibuy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3
- 권(호)
- 47(10)
- 잡지명
- 툴엔지니어(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91~95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