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수주 생산시스템에 의한 생산정보 공유화와 효율경영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의 생산 시스템은 제품의 수명이 짧아지고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으로부터 개별수주생산 시스템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반복성과 범용성이 결핍되어 있는 금형제조업에서는 수주계획의 예측곤란, 작업량의 불균형, 공정의 다기화로 공정 간의 쟁공과 대기 등에 의해 기회손실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 생산정보의 공유화와 효율경영을 위해서는 입력(In-Put)자료 중 3M (Man, Machine, Material) 등의 경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출력(Out-Put)자료 중 QCD(Quality, Cost, Delivery), 즉 품질의 확보와 향상요구, 비용절감의 요망, 그리고 보다 짧은 납기의 요구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생산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 개별수주생산 시스템을 위한 통합형 개별수주 생산시스템(WorkPLAN) 소프트웨어는 공장에서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공정의 진도관리나 기계설비의 가동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제작예산과 실제 소비공수를 대비시킴으로써 원가차이분석을 공정별로 실시하여 효율경영에 기여하도록 한다.
□ 개별수주 생산시스템(WorkPLAN)은 제조의 전 프로세스를 커버하는 본격적인 생산정보의 공유화를 위한 생산관리 소프트웨어로서, 그 사용방법만 잘 준수하면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이므로 올바른 사용방법의 준수여부가 핵심이 된다.
□ 개별수주 생산시스템(WorkPLAN)과 같은 소프트웨어인 경우는 대개 자신이 무엇을 어디까지 시스템화할 것인가 하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하고, 또한 이 관리 소프트웨어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에 다시 한번 이 시스템의 기능점검과 벤더(Vendor)의 능력점검도 함께 검토해야 할 사항이다.
- 저자
- Kawabe Yasumas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7(8)
- 잡지명
- 툴엔지니어(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8~33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