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산 스케줄의 최신 동향
- 전문가 제언
-
□ 현재의 경영은 스피드경영으로 운영하지 않고서는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 뿐만 아니라 IT를 활용한 디지털 제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었다.
□ 1970 년대에서 1980년대 사이 MIS(Manufacturing Information System)와 DSS(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경영에서 기술정보를 지원하였다. 1985년 마이클 포터 교수의 “경쟁우위의 전략”에서 Value Chain을 제안하였다. 그 후 1990년대 SIS(전략정보시스템) CIM((컴퓨터 통합생산)과 또한 1990년 전반에 BPR 후반에 ERP에 이어 SCM으로 진행되면서 내부 관리에서 외부관리로 이어지는 인터넷의 역할은 매우 증대하게 되었으며 생산관리 또한 과거의 단편적인 것으로부터 복합형태 즉 고객과 공급자 생산자 개발자를 전부 연계하는 형태로 변형되어 가면서 능률을 제고하고 있다.
□ 요즈음의 생산 모델은 신 생산 시스템으로 접근되고 있으며 생산 자원 또한 NC에서 DNC, CNC로 변화되고 있고 생산지원시스템 조차도 컴퓨터로 조정되는 자동창고로 변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통합하여 일정관리를 단순한 나열식보다 유연하게 재고와 자원의 부하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방법은 가장 필요한 생산 시스템이라 생각된다.
☐ APS는 미국에서 4년 전에 그리고 일본에 소개 된 것은 불과 2년 정도에 불과한 새로운 S/W로 보급은 많이 되어 있지 않지만 우리나라도 향후 관심을 가지고 연구할 대상으로 생각한다.
- 저자
- NIISHIOKA Yasuo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47(8)
- 잡지명
- 툴엔지니어(A06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4~18
- 분석자
- 마*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