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마이크로파 유전체 세라믹의 재료 개발

전문가 제언
□ 이 마이크로파 유전체에 관한 연구는 먼저 X-선 회절법으로 결정구조를 결정하고, 그 다음에 유전특성을 측정한 내용과 결정구조와의 상관성을 검토한 후, 유전특성의 발현기구를 해명한 점이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되며, 금후 연구 지침으로 활용 하는 것이 좋겠다.

□ 유전체중에서 전자파의 파장은 유전율의 평방근의 역수에 비례해서 단축됨으로 공진기의 크기를 소형화, 경량화 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파장대(帶)에 따라 파장단축 효과가 유효하게 작용하여 유전율이 높은 쪽을 택하기도 하고, 단파장일 경우 파장단축의 효과가 무시할 정도이므로 유전율이 낮은 쪽을 택한다. 이러한 성질을 감안할 때 유전특성의 계측은 매우 정밀하게 실측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마이크로파 유전체는 지구상의 어떤 온도 환경 하에서도 사용될 수 있어야 하므로 공진주파수도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공진주파수의 온도특성이 부(minus)가 되는 재료를 선택하고 여러 온도특성의 재료를 혼합하는 방법을 재료개발에 활용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고주파회로의 집적화(集積化)를 향해서 한층 더 고기능화, 소형화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의 집적회로에서는 저 유전율, 저 손실의 유전재료가 요구되며, 동시에 입체회로의 설계기술도 요망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도의 적층 소성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금후 국내에서 응용하려면 소결기술과 성형기술의 발전이 수반 되어야할 것이다.

□ 유전체의 결정구조를 단결정방법으로 먼저 규명하고, 배위 다면체의 원자의 일부를 다른 원자로 치환하거나 고용시키면, 결정구조가 다른 여러 가지 유전재료가 개발될 것이며, 아울러 결정구조내의 원자의 위치를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법으로 추적하면서 유전특성과 연관시켜서 검토하면 전혀 다른 유전재료의 개발도 기대된다.
저자
Hitoshi Ohsa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5(12)
잡지명
기계의연구(A06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07~1218
분석자
오*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