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극저온하에서 금속재료의 기계시험방법

전문가 제언
□ 극저온이란 천연가스가 액화되는 약 120K(-173℃)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되거나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일컫는다. 이러한 극저온을 발생하는 연구는 1870년대 Linde와 Hampson이 공기를 액화시키고 1911년 Onnes가 극저온에서 초전도체를 발견한 이후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 초전도 기술의 발전과 함께 중요성이 높아진 극저온 냉동기술은 군사, 우주, 의료, 진공, 에너지, 정보통신, 수송관련 분야 등에서의 기반기술로서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저온센서의 극저온 냉동기술은 적외선 센서 등의 검지소자, 반도체 소자 및 고·저온 초전도 전자소자 등에 사용되어 전자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하는 기술로서 저온전자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로 발전하였다.

□ 극저온 냉동기술은 영구가스로 알려졌던 산소, 질소, 헬륨 등의 액화를 목적으로 저온 물리학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 것은 야간투시경이나 미사일 유도 시스템과 같은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적외선 센서의 극저온 냉각이 필요하게 되면서부터 이다.

□ 국내에서의 극저온하 금속재료의 기계시험은 대학연구소와 기업연구소에서 시험설비를 제작하거나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나 신금속재료를 개발하고 산업에 활발하게 응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실험장비 구입과 관련된 연구활동 및 데이터 축적이 필요한 상황이다.

□ 국제규격 협약을 위한 선진국들과의 공동연구나 프로젝트 수행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현재 9개국(벨기에, 중국, 독일, 프랑스, 일본, 네델란드, 폴란드, 영국, 미국)에 한정되어 활동하고 있는 국제규격안 DIS 의 Participating Membership 에 추가로 가입하는데 범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걸로 사료된다.
저자
Yasuhide Shind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55(10)
잡지명
기계의연구(A06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11~1021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