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철도기술의 리스크 평가
- 전문가 제언
-
□ 영국에서는, 안전성확보를 위해 Safety Case에 기초한 시스템을 실제로 운영하기 시작한 후 약 10년이 되었다. 이 경험에서, 수속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과제가 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운행회사가 민영화된 이후, 보수의 효율화나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위해 신 차량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래서 수주한 철도차량제조회사는 신 설계 차량의 Safety Case의 취득에 전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보통 Safety Case의 취득에는 많은 비용과 수년이라는 장시일이 필요하게 된다. 또, 여러 가지 원인이 있기는 하지만 Safety Case를 취득하지 못하는 것에 기인되는 납기의 연기는, 심한 것은 수년이 걸린다. 다시, 이것을 다른 측면에서 보면 철도시스템 전체의 리스크를 향상시키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신 차량의 Safety Case의 취득이 곤란한 것이 원인이 되어, 신 차량으로의 교환이 지연되고 있다.
□ 유럽의 통일은 철도에 큰 영향을 주고 있고, 각국의 철도관련 규격이 유럽이나 세계의 규격으로 급속히 정리되고 있는 중이다. 예로, 각국차량의 호환 가능성에 관한 지령(Interoperability of the Trans- European High-Speed Rail System: 96/48/EC)이나, 철도시스템 전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유럽규격인 RAMS(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Safety)에 관한 EN50126 규격은,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향후의 영국에서의 철도 안전성 확보는, 영국 뿐 만아니라 유럽과의 관계도 주목해야 된다.
□ 한국도 앞으로 경의선철도와 경원선철도를 통해 중국 및 러시아를 통과해 유럽까지 연장 운행될 전망인데, 영국 및 유럽 그리고 중국과 러시아의 철도규격이 통일되어 상호 환입이 가능해지도록 계획되어야 하겠다.
- 저자
- S. Sakai, T. Maki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3
- 권(호)
- 106(1020)
- 잡지명
- 일본기계학회지(A06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862~865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