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인지의 구조
- 전문가 제언
-
□ 객관적으로 리스크의 정의에 대해 여러 입장을 소개한 후, 객관적 리스크인지와 주관적 리스크인지의 차이에 대해 언급하며, 그 다음에 리스크 인지를 구성하는 주요한 성분에 대해 말해 리스크 인지와 관계되는 요인으로서 사람들의 성격, 가치관, 태도, 지식수준, 직업적 입장, 인구동태 특성 등이라고 하는 개인측에 있는 요인, 대규모 재해의 경험. 사회 ,문화, 역사적 특성 등 환경측에 있는 요인, 거기에 대상의 성질이나 사고특성이라고 하는 리스크 대상측의 요인의 기능을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요인의 하나로서, 리스크 인지가 나라에 의해 어떻게 다를까를, 국제 데이터를 기초로 해설하였다.
□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느끼는 가장 큰 리스크는 무엇일까? 아마도 근로소득이나 주택가격의 변화라고 본다. 우리나라는 현재 평생직장개념이 물 건너갔고, 명예퇴직이나 조기퇴직이 30대까지 내려오면서 고용불안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각 개인들이 적극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설 경우 부자뿐만 아니라 가난한 사람과 중산층도 자신들의 삶을 보다 호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인들은 리스크 관리를 통해 직업과 소득, 주택 가격에 대한 불안을 덜게 되면서 자신의 일에 적극적으로 도전하여, 창의성과 다양성으로 매사를 해결해 나간다면 리스크의 위기에서 벗어 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Tomio KINOSH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3
- 권(호)
- 106(1020)
- 잡지명
- 일본기계학회지(A06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849~852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