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자력 방재지원 시스템의 개발개요
- 전문가 제언
-
□ 본 원자력방재지원시스템은 원자력재해사고로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설정한 「국제평가척도」의 3급 상당(원자력시설 외부로 재해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예상하여, 재해대처작업 중 「작업환경의 파악」「재해종식지원 작업」「복구 작업지원」등을 대상작업으로 한 것인데, 원자력발전소 등의 재해 수습에 있어 방사선피폭의 저감화의 일환으로 매우 바람직한 시스템이라 하겠다.
□ 본 시스템도 신기술의 도입에 의한 개선이나 개량에 대응할 것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국제구조시스템 연구기관(NPO)과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지진재해 등에의 적용도 고려해 볼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에 의해서 방재분야에의 로봇적용이 확대되어, 방재작업담당자의 위험 회피, 부담경감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
□ 현재 파악된 개량할 점(장기간의 개발이 필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전자부품의 내방사선성 향상 및 내열성 향상.
○ 무선제어기술의 고도화.
○ 전용기구의 충실 및 고도화.
○ 운전조작기술의 고도화.
□ 원자력재해대책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원자력발전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삼고 있는 곳에서는 꼭 갖춰야 할 대책이며, 원자력방재작업지원용 로봇의 개발은 시급히 필요로 하는 연구과제이다.
- 저자
- Shoichi Hamada, Takahisa Ma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3
- 권(호)
- 106(1019)
- 잡지명
- 일본기계학회지(A06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760~764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