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자 시설의 탈취 시스템 사례
- 전문가 제언
-
□ [냄새]는 입자이기 때문에 공기 중에 확산 되여 있는 것 이외에 침대와 시트 그리고 벽과 천장⋅마루⋅커튼 등에 부착되어 오래 동안 축적되어 심한 자극취로 변화를 일으킨다. 그리하여, 최근의 고령자 시설은 입주자와 간호사가 쾌적한 생활을 할 수 있게 최첨단 기술의 장비를 설치해 나가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 고령자 시설 내의 취기 대책에 관하여서는 아직까지 불충분하지만 간호보험의 시작과 스파골드 최고 라인의 영향이 있어, 각 시설에도 환경조성에 의욕을 보이기 시작했다. 입주자는 물론이고 그 곳에 일하는 사람들과 방문객의 배려에서 시설 내의 탈취대책은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이다.
□ 취기문제는 여러 가지의 요인에 의한 한편, 그것이 문제화가 되는 이유는 환기 시스템의 미비, 운전상의 문제 등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이것을 가능한 한 개량, 또는 적정화하는 것이 문제해결의 일보가 되고 탈취설비는 단지 그것을 보충하는 위치에 있다고 생각된다.
□ 탈취설비로서의 광촉매는 전기, 전자, 자동차, 농업, 건축분야의 떠오르는 핵심기술로 친환경이 생명인 산업전선에서 경영품질과 성장의 구체적인 전략으로 비춰지고 있으며, 공기정화, 오염 물질분해, 탈취 제거를 최대화한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별로 다양한 기능과 폭넓은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우리 한국의 몇 개 회사들도 광촉매로 환경을 지키는 많은 기술을 이미 개발하였고, 나노기술이 응용된 실내 오염 코팅제, 탈취제 및 공기청정기, 대기정화장치 등의 첨단제품 분야를 조요 사업 영역으로 확대해, 활발한 기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환경부가 주관하는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 사업의 일환인 플라스마 활성화 촉매를 이용한 고효율 실내 공기청정기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는데 이는 멀지 않아 도래할 고령자 시설 내 탈취 시스템으로서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 저자
- Eiichi Yahag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78(910)
- 잡지명
- 냉동(A0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11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