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최신예 DCR 압연설비와 고속화 · 다양화 대응 기술

전문가 제언
□ 제철산업은 제조원가가 많이 필요한 장치산업이며 노동집약적인 산업이기 때문에 압연설비가 최신설비이여야 할 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이 요구된다.

□ 제철소 전 공정을 대상으로 하여 검토했을 때, 부가가치를 가장 많이 높이는 공정이 냉간압연 공정이고 제품의 품질이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공정도 냉간압연 공정이므로 냉간압연설비가 최신설비이고 주변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개선될수록 경쟁력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 포스코의 냉간압연 설비가 비교적 신예설비라고는 하나 철강생산에 있어 후발주자인 중국이 포스코의 냉간압연설비보다 더 신예화된 설비를 일본으로부터 구입하고 주변기술을 전수받는다면 아직까지는 포스코의 압연기술이 세계적으로 앞선 수준이지만 중국에 추월당할 염려도 있으므로 포스코를 비롯한 한국의 냉간압연 업체들은 냉간압연기술의 고속화와 다양화 연구에 정진할 필요가 있다.

□ 국내 냉간압연 업체 및 리롤(re-roll) 업체들 중에서 냉연설비가 노후하고 관련기술을 자체적으로 집약화할 수 없는 업체는 과감한 설비 재투자와 연구를 통해 앞선 냉간압연기술을 취득하고 연마할 필요가 있다. 냉간압연 설비를 일본이나 유럽 및 미국으로부터 구입할 경우, 관련기술을 함께 묶어 수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국내에서도 제철설비를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국내 중공업 관련업체들은 엔지니어링에 심혈을 기울이고 철강업체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신제품개발에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되며, 정부에서도 이러한 수요가와 공급처의 대화가 원활히 유지되도록 시책을 마련해 주는 일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저자
Kii Huji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637)
잡지명
산업기계(A06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48
분석자
김*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