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최종 처분장 침출수의 탈염, 건고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가정에서 발생된 도시 쓰레기나, 산업 활동으로 배출되는 각종 폐기물은 여러 중간처리 과정을 거치며, 감용화(減容化), 위생화(衛生化), 용융화(熔融化) 되지만 최종적으로 남는 것은 매립처리 된다.
□ 이때 발생되는 침출수는 통상 침출수 처리시설에서 BOD, COD, SS,부 영영화 물질인 질소(N), 인(P) 등이 주요 대상물질이나, 폐기물의성상변화나, 중간처리과정의 고도화로 매립물 중 무기염류의 농도가 증가되고 있다.
□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탈염처리 방법과 건고처리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 탈염처리방법은 전기투석법과 역 침투법이 있는데, 침출수의 경우 탈염처리에는 전기투석법이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다. 실제 적용 예의 경우 탈염원수의 염소이온 농도10,000mg/L의 경우 처리수 농도는 73mg/L(보정치200mg/L 이하)로 양호한 탈염처리기 이뤄지고, 농축수의 농도는 95,000mg/L이 된 것은 전기투석법의 우수한 성능을 말해준다.
□ 건고처리 방법으로는 상압드라이어 방식과 감압드라이 방식이 있는데, 상압식이 감압식에 비해 설비비나, 전기료 등에서 경제적이며, 또 실용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최근에는 매립량의 감용화 및 다이옥신류 등의 배출방지를 위해서 폐기물의 용융처리나, 소각재의 용융화가 증가하고 있지만, 무기염류가 많아 용융 시 비산재 등에서 회수된물에 의해 쉽게 용출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침출수 중의 무기염류 문제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상기 탈염(脫塩)· 건고(乾固)처리 시스템과 같은 설비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저자
- Isiha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3
- 권(호)
- (636)
- 잡지명
- 산업기계(A06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2~34
- 분석자
- 진*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