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 하수오니 활성탄화 설비

전문가 제언
□ 국내에서도 2003년 하수오니에 대한 직매립이 금지되고, 국제적으로도 런던조약 발효에 따른 해양투기의 금지가 예상되는 시점에 유기성 페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 유기성 폐기물은 재활용이 가능한 물질이나 재활용 기술 등의 부족으 로 유기성 폐기물의 대부분은 해양투기나 직매립에 의존하고 있고, 재 활용 비율은 10%에도 못 미친다.

□ 이렇게 재활용대책이 시급한 하수오니를 건류공정, 탄화공정, 부활공정을 거쳐 흡착능력이 높은 활성 탄화물을 제조하여 여러 분야에서 재활용하는 기술이 널리 보급 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 활성탄화물은 활성탄과 기능을 같이 하는데, 활성탄의 흡착능은 비표면적이 좌우하고 세공구조에 따라 흡착물질은 입자의 외부표면에 가까운 거대 공극에서 입자 내부의 미세 공극으로 흡착해간다. 활성탄에서의 Macro pore와 Transitional pore는 주로 피흡착 물질이 도달하는 통로로써 역할을 하며 흡착속도를 지배하는 입자로서 중요하다. 실제 흡착은 Micro pore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부활공정에서는 활성탄화물의 표면에 Micro pore가 많이 발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다이옥신을 무해화 시키는 방법으로는, 활성탄에 대한 흡착방법, 촉매 산화법, 소석회를 흡입 다이옥신을 무해화 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하수오니를 건류, 탄화, 부활공정을 거쳐 제조한 활성탄화물을 실제 쓰레기 소각장에 이용하여 다이옥신 흡착 실험을 한 결과, 활성탄과 동일한 효과를 보인 것은 향후 하수오니의 새로운 분야에 재활용 가능성을 열어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자
Kusuda Hiromas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636)
잡지명
산업기계(A068)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8~31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